본문 바로가기
채권

2025년 3월 미국 국채 금리 하락 원인

by nunsate 2025. 3. 3.

2025년 들어서 최근에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눈에 띄게 하락했습니다. 약 1월 중순 4.8%대까지 올랐던 금리가 3월 초 현재 4.2% 로 떨어지며 두 달여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금리 하락은 경제적 요인시장 심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아래에서는 주요 요인별로 그 배경을 정리 공유 합니다.

 

2025년 3월 미국 국채 금리 하락 요인1

 

 

 

 

2025년 3월 미국 국채 금리 하락 요인

 

① 연준(Fed)의 금리 정책 변화 및 전망

 

연준은 2024년 9~12월에 기준금리를 총 1% p 인하한 후 2025년 초에는 추가 인하를 보류하며 중립적인 스탠스를 취했습니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1월 CPI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자 “당분간 추가 금리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라고 밝혀 시장에 금리동결 기조를 시사했습니다. 그러나 2월 들어 경기 둔화 징후가 뚜렷해지면서 연내 금리인하 기대가 다시 부상했습니다. 

 

 

② 경기 지표 및 경기 둔화 우려

 

2월에는 미국 경기둔화 신호를 보이는 지표들이 연이어 발표되며 국채 금리 하락 압력이 커졌습니다. 2월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가 98.3으로 전월(105.3) 및 예상치(103.0)를 크게 밑돌았습니다​. 또 미시건대 소비자심리는 15개월래 최저로 떨어졌습니다. 

 

제조업/서비스업 지표도 부진하여, 2월 S&P 글로벌 PMI에서는 미국 서비스업 활동이 2년 만에 처음으로 위축되는 등 “기업들의 낙관론이 증발”했다는 평가가 나왔습니다​. 필라델피아 연은 서비스업지수 역시 -12.9로 급락하며 2023년 4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주택경기도 둔화 조짐이 나타나 1월 기존주택 판매가 감소했고, 소매업체인 월마트는 향후 소비 둔화를 반영한 실망스러운 가이던스를 제시했습니다​. 이처럼 지표들이 흔들리자 경기침체 가능성이 부각되었고, 안전자산인 국채 매수세를 촉발했습니다.

 

 

③ 국채 수급 상황 및 재무부 발행 계획

 

2월 5일 재무부는 분기_refunding 계획에서 “앞으로 몇 분기 동안 국채 입찰 규모를 동결하고, 필요한 경우 물가채(TIPS)만 소폭 늘리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시장의 우려와 달리 장기 국채의 추가 공급을 억제하는 내용으로, 발표 직후 10년물 금리가 8bp 급락했습니다.

 

아울러 연방정부 부채한도 도달로 새로운 채권 발행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재무부는 단기 국채(TBills)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일반계정 자금을 소진하는 특별조치를 시행 중이었습니다​. 부채한도가 해결될 때까지 순발행이 사실상 중단되면서 시중에 공급되는 국채 물량이 감소했고, 재무부가 쌓아둔 현금을 시장에 풀어 유동성을 공급한 효과까지 겹쳐 국채 수급 개선으로 금리 하락을 부추겼습니다​.

 

2025년 3월 미국 국채 금리 하락 요인4
미 재무부 국채 발행 계획

 

④  글로벌 시장 변동성과 안전자산 선호 심리 강화

 

2월 들어 시장 변동성이 눈에 띄게 높아졌습니다. 미국 VIX 지수(공포지수)가 2월 21일 연중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하였습니다. 경기 전망이 불확실해지고 트럼프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자, 자금이 주식 등 위험자산에서 빠져나와 국채 등 안전자산으로 이동하는 리스크 오프(Risk-off)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2월 말 한때 미 증시가 급락하는 가운데 10년물 금리가 하루에 8bp나 급락하는 정반대 움직임이 포착되었는데, 이는 투자자들이 주식을 팔고 국채를 매입하는 안전자산 선호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시장에서는 “미국 경제에 경고등이 켜졌다(red flags are emerging)”는 인식이 퍼지며​, 경기둔화 공포로 채권가격이 급등(금리 급락) 하는 상황이 연출되었습니다.

 

2025년 3월 미국 국채 금리 하락 요인22025년 3월 미국 국채 금리 하락 요인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