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금통위 결과 시장과 전문가 리뷰 결과 요약해 봅니다. 4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는 2.75%로 동결되었지만, 5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졌으며, 통화정책의 무게 중심은 '경기 방어'로 전환되는 분위기입니다.
금통위 핵심 정리
기준금리 | 2.75% 동결 (신성환 위원 25bp 인하 소수의견) |
향후 금리 전망 | 6인 전원, 3개월 내 인하 가능성 열어둠 |
성장률 전망 | 기존 1.5%도 하회 가능, 1% 이하 가능성도 |
물가 전망 | 2025년, 2026년 모두 1.9% 예상 (안정세 유지) |
환율/가계부채 | 여전히 금융안정 리스크 요소로 작용 |
기준 금리 동결 이유
기준 금리 동결 이유는 아래 세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습니다.
- 높은 환율 변동성: 미국 관세 정책과 중국 반응 등 외부 충격 지속
- 가계부채 재확대 우려: 완화 정책 지속 시 다시 확대될 위험
- 정치 불확실성: 탄핵 이후 여진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음
5월 인하 가능성
국내 정치 리스크, 글로벌 무역 둔화, 수출 감소 등으로 인해 2025년 연간 GDP 성장률은 1% 초반까지 하락할 수 있으며 특히 1분기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까지 언급되며, 경기 침체 우려가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이창용 총재는 “터널 속 어두운 구간”이라며 속도 조절의 필요성을 강조했지만, “위원 6명 전원이 기준금리를 2.7% 이하로 낮출 수 있다고 봤습니다. 이는 곧 5월 인하 가능성이 높다는 뜻입니다.”라고 말하면서 5월 인하 가능성에 대해서 언급하였습니다.
또한 5월 경제전망 발표와 맞물려 기준금리 경로가 재설정될 가능성도 언급되었습니다. 시장은 연말 기준금리 2.25% 를 주요 시나리오로 보고 있으며, 5월 인하(2.50%) → 3분기 추가 인하(2.25%) 흐름을 유력하게 보고 있습니다.
'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채권 금리 '깜짝 하락' 그 배경은? (2025년 4월 23일) (0) | 2025.04.23 |
---|---|
2025년 4월 09일 미국 국채 금리 급등 요인 (0) | 2025.04.09 |
2025년 3월 27일 최근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상승 요인 (0) | 2025.03.27 |
미국 기준 금리 동결, 양적 긴축 (QT) 축소 (0) | 2025.03.20 |
2025년 3월 미국 국채 금리 하락 원인 (0) | 2025.03.03 |
2025년 2월 금통위 기준 금리 인하 (0) | 2025.02.25 |
미국 채권 금리 하락 (2025년 2월 5일) 2월 발표 고용 지표(JOLT) (1) | 2025.02.06 |
미국 채권 금리 상승 (2025년 1월 8일) 1월 발표 고용지표(JOLT) (0) | 2025.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