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일 한국 시간 새벽 3시 미국 기준 금리가 발표되었습니다. 시장의 예상대로 4.25 ~4.50으로 동결했습니다.

연준 기준 금리 동결
동결 이유를 간략하게 보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증가되고, 물가가 쉽게 떨어지지 않고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동결하며 지켜보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기준 금리 동결로 우리나라와 미국 금리차이는 상단 기준으로 1.75% 입니다. 4월이면 우리나라도 기준 금리가 발표되는데요. 미국과 금리차가 여전히 크고 금리차가 더 벌어질 경우 환율의 영향, 가계부채 등으로 금리인하 속도를 조절할 것이라는 기사가 많습니다.


연준은 올해 금리를 두 차례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은 그대로 유지했으며 점도표에 따르면 올해말 기준금리 전망은 3.9입니다. 시장의 많은 사람들이 미국 경기 침체를 염려하고 있는데요. 연준 의장은 미국 경제가 여전히 강하고 노동시장 역시 견고하여 침체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얘기했습니다.
양적 긴축 (QT) 축소
연준의 양적 긴축은 연준이 보유한 국채를 팔아서 시중의 돈을 회수하는 정책입니다. 매달 250억 달러씩 팔던 국채 물량을 4월부터는 50억 달러만 감축한다고 발표했습니다. QT 축소로 국채 매각 물량이 줄어들면 채권 공급이 줄어들고 채권 수급을 개선하며 금리를 하향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드럼프 대통령 눈치를 보는 걸까요. 아무튼 채권을 투자하는 사람들에게는 좋은 소식이네요.
QT 확대 | 채권 매각 증가, 재투자 축소 | 증가 | 상승 압력 | 수급 악화 |
✅ QT 축소 | 매각 감소, 재투자 증가 | 감소 | 하락 안정 | 수급 개선 |
시장의 반응
연내 두차례 금리 인하 유지 계획에 미국 증시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채권 금리 역시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4월 09일 미국 국채 금리 급등 요인 (0) | 2025.04.09 |
---|---|
2025년 3월 27일 최근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상승 요인 (0) | 2025.03.27 |
2025년 3월 미국 국채 금리 하락 원인 (0) | 2025.03.03 |
2025년 2월 금통위 기준 금리 인하 (0) | 2025.02.25 |
미국 채권 금리 하락 (2025년 2월 5일) 2월 발표 고용 지표(JOLT) (1) | 2025.02.06 |
미국 채권 금리 상승 (2025년 1월 8일) 1월 발표 고용지표(JOLT) (0) | 2025.01.08 |
한국 기준 금리 인하에도 한국 국채 금리 상승 (채권 가격 하락) 이유? (1) | 2024.12.21 |
미국 기준 금리 인하에도 채권 금리 상승 이유 (2024-12-20)? (0) | 2024.12.20 |